본문 바로가기
라이프 정보

설, 추석 명절에 차례 지방 쓰는 법 알아보기

by holims 2024. 2. 7.

목차

    반응형

    안녕하세요. 설이나 추석에 차례를 지내면서 신주 대신 사용하는 것이 지방입니다. 지방이 무엇이며 어떤 방식으로 작성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지방(紙榜)이란?

    지방이란 신주가 없을 경우 임시로 사용할 수 있는 조상의 신위를 말하며 주로 한지에 글씨를 써서 나타냅니다. 크기는 높이 24cm 너비 6cm 정도이며 지방은 적당한 판자나 병풍에 붙여서 모시게 됩니다.

    지방(紙榜) 순서

    고인과의 관계

    아버지인 경우에는 고(考), 어머니일 경우 비(妣), 조부모일 경우 조고(祖考), 조비(祖妣), 증조부모일 경우 증고조(曾祖考), 증조비(曾祖妣), 고조부모일 경우 고조고(高祖考), 고조비(高祖妣)이며, 남편은 현벽(顯辟), 아내일 경우 현(顯)이 아닌 망실(亡室), 고실(故室)이라고 쓰면 됩니다.

    고인의 직위

    직명과 직급은 사실대로 쓰며 그 부인은 부인(夫人)이라 썼습니다.  만일 없을 경우 학생(學生)이라고 쓰고 부인은 유인(孺人)이라고 사용합니다. 현대에서는 대부분 남자조상은 학생(學生)으로, 부인은 유인(孺人)이라고 사용합니다.

    고인의 이름

    남자의 조상일 경우 부군(俯君), 여자 조상이나 아내는 본관과 성씨(全州李氏와 같이 씀)를 붙여 사용합니다.

    고조부모 지방 쓰는 법

    고조부 (현 고조고 학생 부군 신위)  고조모 (현 고조비 유인 △△△씨 신위)

    증조부모 지방 쓰는 법

    증조부 (현 증조고 학생 부군 신위)  증조모 (현 증조비 유인 ㅁㅁㅁ씨 신위)

    조부모 지방 쓰는 법

    조부 (현 조고 학생 부군 신위) 조모 (현 조비 유인 ㅇㅇㅇ씨 신위)

    부모 지방 쓰는 법

    아버지 (현 고 학생 부군 신위) 어머니 (현 비 유인 ☆☆☆씨 신위)

    특수한 경우

    남편과 아내

     남편 (현 벽 학생 부군 신위) 아내 (망실 유인 ㅇㅇㅇ씨 신위)

    형과 형수

    (현 형 학생 부군 신위) 형수 (현 형수 유인 ㅁㅁㅁ씨 신위)

    결론

    지금까지 설과 추석 명절에 차례를 지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설과 추석 명절 때 차례를 지내실 때는 위의 내용을 참고하여 지방을 쓰시면 됩니다. 즐거운 명절 보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2024년 설 명절 연휴에 편의점에서 택배 보내는 법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설연휴에 택배를 보내고 싶지만 택배사들이 휴무하는 관계로 택배를 보낼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편의점에서는 휴일이나 설 명절 상관없이 택배를 보낼 수 있는 서비스가 있어서

    holiminfo.tistory.com

     

    2024년 설 명절 대한민국 한우 최대 50% 할인 행사(소프라이즈)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농림축산식품부는 2024년 설 명절을 맞이하여 한우를 할인한다고 합니다. 할인 축제 행사가 언제까지이며 어디서 구입할 수 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한우 할인 행사 소프라이즈 이

    holiminfo.tistory.com